본문 바로가기

과학

적정의 종류

※A, B, C... 의 제목자체는 약간 임의로 붙인 것도 있습니다.

 

 

적정의 종류

 

A. 시각 적정

 

1) 지시약 적정법

 

지시약의 변색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B. 물리화학적 방법

 

1) 전위차 적정

 

정량 분석에 있어서 지시약 대신 기전력을 측정하여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피 적정 용액에 2개의 전극을 넣어 전위차계의 의해 이온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기전력의 급변에서 적정의 종말점을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유리 전극, 백금 전극 등을 지시 전극으로 하고 칼로멜 전극을 비교 전극으로 사용한다. 지시약에 의한 방법에 비해 정밀도나 감도가 좋고 중화 적정, 산화 환원 적정, 킬레이트 적정 등에 이용되고 있다.

 

2) 도전율 적정

 

검수의 적정을 하면서 도전율을 적정하고, 적정한 시약의 양과 도전율과의 관계를 그래프에 그리면 경사를 달리하는 2직선이 되며, 그 교점이 종점이다. 도전율계를 사용하여 측정을 하고, 전원에는 수 KC의 저주파 발신기로부터의 파형이 완전히 대칭적인 교류를 사용한다. 중화 적정, 침전 적정, 킬레이트 적정 등에 사용된다.

 

3) 전류 적정

 

전기 적정의 일종. 피 적정 용액 중에 전극을 삽입하여 그 전극 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면서 적정을 진행하고, 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적정 곡선이 꺾인 데서 종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폴라로그래프법과 같은 종류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가하고, 적정이 진행됨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며, 적정액의 첨가량을 가로축에, 전류 값을 세로축에 잡아 적정 곡선을 그려 종점을 구한다. 적정용으로 적당한 지시약이 없을 때나 시료 농도가 희박한 경우 등에 사용된다.

 

4) 고주파 적정

 

적정에 쓰이는 용기를 고주파발신기 또는 수신기의 코일이나 축전기 안에 두고, 10-210-4 몰농도의 시료용액에 대하여 중화·침전·착적정을 하여, 용액의 고주파에너지에 대한 반응의 변화를 측정한다.

공존이온농도가 큰 경우나 산화환원적정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으나, 비수용매의 적정에는 큰 효과를 나타낸다. 착색용액이나 서스펜션(현탁액)에도 이용할 수 있는 특색이 있다.

 

5) 온도 적정

 

화학반응에는 열의 출입이 있으므로 반응용기 내의 온도가 화학반응의 진행과 더불어 변화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열의 출입이 없어지므로 온도변화도 없어진다. 이 점을 감도가 좋은 서미스터온도계로 측정한다. 예를 들면, 붕산과 같은 약산의 중화적정 등에 이용된다.

 

6) 광도 적정

 

시료용액에 적당한 시약의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용액의 흡광도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용량분석법이다.

 

C. 반응의 형식에 따른 분류

 

1) 중화적정

 

산 또는 염기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농도를 알 수 없는 염기 또는 산을 적정함으로써 정량분석하는 방법이다. 화학반응 중에서 중화반응은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고, 산염기 지시약에 의해서 중화점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산 또는 염기를 정량할 수가 있다. 산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염기를 적정하는 염기적정과, 염기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산을 적정하는 산적정이 있으며, 산염기적정이라고도 한다. 산의 표준용액으로는 염산 또는 황산을 사용하고, 염기의 표준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바륨 등을 사용한다.

 

2) 산화-환원 적정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한 적정법으로, 종말점을 찾는 방법에는 지시약법, 전위차법, 분광학적 방법 등이 있다.

 

3) 침전적정

 

침전의 발생, 소멸을 이용하는 적정이지만, 발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량하여야 할 이온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여 난용성 침전을 부여하는 물질을 적정제로 하여 그 표준액을 사용하여 적정한다. Cl-를 질산은 표준액으로 적정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4) 착적정

 

착적정의 대표적인 예가 킬레이트 적정법이다. 킬레이트 적정법은 주로 금속이온을 정량의 대상으로 하고, 킬레이트 시약을 첨가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시켜 행하는 적정법을 말한다.

 

D. 적정제의 종류에 따른 분류

 

1) 과망간산 적정

 

과망가니즈산칼륨 KMnO4의 표준액을 이용하는 산화적정법이며 환원성 물질을 정량하는 분석법이다.

 

2) 다이크로뮴산염 적정

 

다이크로뮴산염을 표준 용액으로 사용하여 환원제를 정량하는 적정이다.

 

3) 아이오딘 적정

 

아이오딘적정에는 약한 산화제인 아이오딘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강한 환원성 물질을 산화시키는 아이오딘화적정과, 산화제를 환원시켜 아이오딘을 석출시킨 다음 이것을 싸이오황산나트륨 표준용액을 써서 적정하는 아이오딘환원적정의 두 가지가 있다. 산화적정에서는 아이오딘의 약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환원성 물질을 정량한다.

 

E. 적정의 방법에 따른 분류

 

1) 직접 적정

 

목적성분이 포함된 시료를 미리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액으로 직접 적정하는 방법이다.

 

2) 역적정

 

유기 화합물의 반응과 같이 반응 속도가 느려서 종말점을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정량의 표준용액을 가하여 목적 성분과 반응 시키고 남은 표준용액을 다른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는 방법이다..

 

3) 간접 적정

 

적정의 간접분석. 정량하려는 성분을 그것과 화학량론적인 관계에 있는 다른 물질로 치환시켜 둘째 것을 적정함으로써 첫째 것을 정량하는 방법. 요오드적정으로 구리이온을 정량하는 것이 그 실례이며 먼저 요오드화칼륨을 가하여 구리이온과 당량인 요오드를 생성시킨 다음 이것을 티오황산나트륨 표준액으로 적정한다.